본문 바로가기
건강해야돼!!!

심부전,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원인부터 예방, 치료까지...

by 짱구아빠1122 2025. 2. 12.
반응형
심부전...고령화 사회의 새로운 건강 과제 심부전(心不全, Heart Failure)은 심장이 충분한 혈액을 온몸에 펌프할 수 없는 상태로,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건강 문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심부전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심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해 신체의 여러 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지 못하는 질환입니다. 만성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급성 심부전은 심장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응급 처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1. 심부전의 원인

 

심부전은 주로 심장 질환에 의해 발생하지만,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 질환 :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히거나 좁아져 심장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고혈압 : 높은 혈압은 심장에 과도한 부담을 주어 기능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심장 판막 질환 : 심장 내 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거나 이상이 생겨 혈액 흐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 : 심장 근육에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일부 근육이 손상되면 심장 기능이 저하됩니다.

심장 근육 질환 : 심장 근육 자체에 문제가 생겨 기능이 저하됩니다.

부정맥 :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은 심장의 펌프 기능을 방해하여 심부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기타 원인 : 당뇨병, 폐질환, 갑상선 질환 등이 심부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심부전의 증상
심부전의 증상은 심장의 기능 저하 정도에 따라 다르며, 주로 다음과 같습니다.

호흡 곤란: 폐에 체액이 쌓여 숨쉬기 어려워집니다.

부종: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해 다리, 복부, 발목 등이 부을 수 있습니다.

피로감: 몸에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지 않아 쉽게 피로해집니다.

야간 기침: 폐에 체액이 고여 기침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심계항진: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불규칙하게 뛰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체중 증가: 체액 축적으로 인해 갑작스러운 체중 증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심부전의 종류

심부전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좌심부전: 왼쪽 심장이 기능하지 못해 혈액이 폐에 고이며 호흡 곤란이 발생합니다.

우심부전: 오른쪽 심장이 기능하지 못해 혈액이 체내 다른 부위에 고여 부종이 발생합니다.

양측 심부전: 좌심부전과 우심부전이 동시에 발생한 상태입니다.

 

4. 전 세계 심부전 현황

전 세계적으로 심혈관 질환(CVD)은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입니다. 2021년에는 약 1,941만 명이 CVD로 사망하였으며, 그중 관상동맥심장질환(CHD)이 371,506명의 사망을 초래했습니다.

미국에서는 연간 약 60만 명이 심장 마비를 경험하며, 최초 심장 마비의 평균 연령은 남성 65.6세, 여성 72.0세입니다. 또한, 약 40초마다 한 명이 심근경색을 겪고 있습니다.

질환 유형
사망자 수
CVD 전체
19,410,000명
CHD
371,506명

 

5. 우리나라 심부전 현황

우리나라에서도 심부전의 유병률과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한심부전학회에 따르면, 2002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심부전 유병률은 0.77%에서 2.58%로 약 3배 증가하였습니다.

연도
유병률 (%)
2002
0.77
2010
1.5
2020
2.58

또한, 심부전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2002년 3명에서 2020년 15.6명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80세 이상의 고령층에서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6. 성별 심부전 환자 통계

 

2023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심부전 환자 중 여성은 151,890명(57.3%), 남성은 113,184명(42.7%)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여성의 평균 수명이 길고, 고령층에서 심부전 위험이 높은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7. 심부전 치료 및 관리

 

심부전은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1.생활 습관 개선

저염식 : 과도한 염분 섭취를 줄여 심장 부담을 줄입니다.

체중 관리 : 적절한 체중을 유지해 심장에 부담을 덜어줍니다.

운동 :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합니다.

금연, 절주 : 흡연과 과음은 심부전을 악화시키므로 피해야 합니다.

 

2.약물 치료

ACE 억제제 : 심장의 부담을 줄이는 약물

베타 차단제 : 심박수를 낮추고 심장의 부담을 경감

이뇨제 : 체내 과도한 체액을 배출하여 부종 완화

 

3.수술적 치료

심장 우회 수술 : 관상동맥 질환이 원인일 경우 혈류를 개선하는 수술

심장 판막 수술 : 판막 이상이 있는 경우 수리 또는 교체

심장이식 : 심장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된 경우 최후의 수단으로 시행

 

전 세계적으로 심부전은 주요 건강 문제로 부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유병률과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관련하여 심부전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심부전 예방과 조기 진단,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합니다.
개인의 건강 관리뿐만 아니라 정부와 의료기관의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 강화가 필수적입니다.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심부전으로 인한 부담을 줄이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https://blog.naver.com/subnam/223776325391

https://blog.naver.com/subnam/223771373055

 

 

저염식 & 저당식 완벽 가이드! 건강한 식습관의 모든 것

건강한 삶을 위한 필수 가이드 저염식 & 저당식 완벽 정리! 저염식과 저당식이 왜 중요할까요? 우리는 ...

blog.naver.com

 

 

걷기 vs 계단 오르기! 다이어트와 건강에 더 좋은 운동은?

걷기 vs 계단 오르기, 더 효과적인 운동은? 건강하고 탄탄한 몸을 만들고 싶다면? 하루 30분만 투자해보세...

blog.naver.com